한국사회가 정치적으로 양극단화가 매우 심하게 벌어져 있습니다. 물론 대통령 파면이라는 결론이 났기 때문에 불복하거나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파면에 찬성하는 분들도 승리했다고 승리의 팡파레를 울릴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파면에 반대하셨던 분들도 패전했다고 생각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제 앞으로 어려움이 생겼을 때 어떤 기준으로, 서로에게 어떻게 이해시키고 타협과 절충을 해 나갈 것인가를 배워야 합니다. 그럼에도 염려스러운 것은 서로가 그동안 벌어진 간극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가?입니다. 가정에서, 모임에서, 직장에서, 광장에서, 심지어 교회 안에서까지 벌어진 간극이 너무나도 크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런 모습을 보면서 교회 지도자들이나 정치인들이 너무 나쁘다는 생각을 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기가 속한 단체를 중심으로 보기보다는 전체를 보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오히려 더 부추긴 측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교회의 지도자들이 정치에 너무 깊이 발을 담그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정치에 대해서 무관심하라는 것은 아닙니다. 정치적인 어떤 행보를 하면서 선동하거나 반대하거나 하는 등의 모습은 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교회의 지도자들은 오히려 교회 안에 다양한 목소리들이 있음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다양한 생각과 배경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조정하고 조작하려고 하는 모습을 가져서는 아니 됩니다. 오히려 서로가 다른 부분들을 인정하면서 같은 부분을 이야기하여 하나가 되어가는 모습을 추구해야 합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가장 같은 것이 무엇입니까? 그것은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입니다. 또한 신앙과 삶의 유일한 규칙은 ‘성경’이라는 고백입니다. 혹시나 성경보다는 자신의 선입견이나 관점이 더 먼저 작용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 작금에 일어나고 있는 모습들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다시금 해야 하는 것은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성경을 좀 깊이 있게 연구하고 배워야 합니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경을 너무 단순화 시켜서 ‘구원받는 길’로만 여겼습니다. 그러나 성경의 이야기에는 ‘사회’가 있고, ‘국가’가 있습니다. 그 사회 속에서 일어난 일, 국가 간의 전쟁, 개인 간의 갈등의 문제들을 그대로 노출시켰습니다.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이 틀리면 틀린 대로 우리에게 교훈을 주고 있고, 올바른 관점에서 무엇이 틀렸는가?를 보도록 합니다. |